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정록: Private Light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정록  I  Private Light 19 _ 9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이정록  I  Private Light 27_ 9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제목 : 이정록 _ Private Light
기간 : 2025.07.02(수) - 08.16(토) *연장
시간 : 화~토요일 10am~6pm
장소 : 갤러리 나우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52길 16)
문의 : T. 02-725-2930, E-mail. gallerynow@hanmail.net




이정록  I  Private Light 25 _ 150x20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서문]


이정록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에 촬영을 한다. 3개월 이상의 로케이션 조사, 일주일 이상에 걸친 촬영 테스트, 4~8시간의 노출, 그리고 반복에 반복을 거듭한 촬영. 이처럼 지난한 과정을 거치는 그의 작업 방식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신비로운 에너지를 사진이라는 형식으로 드러내기 위함이다.
자연이 지닌 고요한 떨림과 생명의 율동을 감각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그는 아날로그 대형 카메라, 장노출 기법, 지속광과 플래시의 혼용 등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촬영을 진행한다. 보이지 않지만 오감으로는 느낄 수 있는 생명력과 기운을 시각화하기 위한, 이정록만의 독특한 시도다.

“작품 자체도 너무 아름답지만, 사실 그 작품이 나오기까지의 긴 여정이 더 감동적으로 와닿았다.” “작품이 단순히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다고 느껴졌습니다.” “집의 분위기가 햇빛처럼 생명력을 뿜어내 주어, 이렇게도 집이 달라질 수 있음을 느꼈습니다.” “볼 때마다 제 삶이 행복하고, 경이로운 느낌마저 들어 너무나 행복합니다.”
이정록의 작품을 소장한 이들의 육성이다. 위와 같이 그의 사진에는 설명할 수 없는 묘한 끌림이 있다. 그 이유는 바로 보이는 것 너머의 ‘영적 기운’이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정록의 작업은 단순한 시각 예술을 넘어, 생명체의 본질과 에너지 흐름에 대한 깊은 탐구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신작은 식물의 향기, 곧 자연의 냄새를 시각화한 작업이다. 오감은 이성이나 계산의 영역이 아닌, 비가시적인 영역이다. 이정록은 모든 감각을 열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식물들 과의 교감을 통해 얻은 경이로움을 사진에 담아냈다. 그는 자연이 뿜어내는 생명력에 주목하고, 식물마다 지닌 고유한 냄새를 시각 언어로 표현했다.
나무와 숲이 발산하는 또 하나의 생명 에너지, 즉 향기를 이정록만의 빛과 색채로 재해석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풍경 재현이 아니라, 자연에서 느껴지는 생명의 숨결과 신비한 기운, 그리고 냄새까지 포착한 결과물이다. 그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시각을 넘어, 후각까지 자극하는 공감각적 체험을 유도한다.

식물이 내뿜는 냄새는 그 존재를 드러내고 생명력을 유지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며, 그들이 삶을 지속하는 방식 중 하나다. 이러한 자연의 향기와 정령적 감각은, 자연을 캔버스로 삼고 빛을 물감 삼아 '빛과 색채'로 완성된다. 후각은 인간의 오감 중에서도 감정에 가장 깊게 영향을 미치는 감각이다. 그의 사진은 현실의 풍경이면서도, 시각 너머의 감각을 일깨운다. 이러한 시도는 사진 매체의 한계를 넘어설 뿐 아니라, 풍경 사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한 자연의 재현을 넘어, 자연과 인간의 교감,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연결, 생명력과 향기의 시각적 구현이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품고 있다. 
그의 작품은 감상자에게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느끼는’ 체험을 제공하는 예술적 장치로 작동하며, 자연이 품은 신비와 생명의 언어를 감각적으로 번역해 낸다.



이정록  I  Private Light 24 _ 120x16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이정록  I  Private Light 23 _ 9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작가노트]

<향기 언어>
작가가 된 이후 늘 반복하는 일이 있다. 주변 자연을 관찰하고 돌아다니는 로케이션 헌팅이다. 나는 줄여서 ‘로케’라고 부른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루틴이다. 돌이켜보면 나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로케 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어린 시절 집 주변 산이나 호수 등을 돌아다니며 호기심 어린 눈으로 식물이나 동물들을 관찰하곤 했다. 작가가 된 이후로는 그때그때 진행하고 있던 ‘작업의 컨셉’이라는 안경을 쓰고 로케를 다녔다. 이런저런 기회 덕분에 지구촌 곳곳으로 로케의 영역이 넓어지기도 하였다. 펜데믹 시대를 거치며 몇 년간 국내에서만 작업을 하게 되었다. 익숙한 풍경들이 다르게 와닿았다. 우리 강산이 지닌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새삼 자각한 것이었다. 작업실을 시골로 옮기면서 4년여를 작업실 근처 한두 시간 이내의 자연에 집중했다. 자연스럽게 로케 코스가 여럿 생겼다. 짧게는 1시간 30분부터 길게는 4시간이 소요되는 루트다. 이 코스를 반복적으로 다니며 풍경들의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했다.

같은 풍경을 긴 시간 시간차를 두고 관찰하다 보니, 그 장소가 품고 있는 여러 가지 모습이 내 안에서 하나의 이미지로 중첩되었다. 그 위에 나의 상상 어린 시선을 덧입히며 그리고 지우는 일을 무수히 반복했다. 내가 그려낸 이미지 대부분은 덧없이 사라지지만, 어떤 이미지들은 내 안에 선명하게 맺히기도 했다. 
양자역학에 ‘관찰자 효과’ 라는 게 있다. 입자의 상태가 관측되기 전까지는 여러 가능성이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관측이 이루어지는 순간 하나의 확정된 상태로 ‘결정’ 된다는 것이다. 김춘수의 시 ‘꽃’ 이 떠오르는 이론이다. 시인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 그는 나 에게로 와서 / 꽃이 되었다” 라고 노래했다. 그는 수많은 가능성 속에 존재하지만, ‘나’가 그를 인식하고 이름을 부여하는 순간, 그는 그 모든 가능성 중 하나인 ‘꽃’ 으로 구체화 된다는 내용의 멋진 시다. 

나 역시 존재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관계적이라고 생각하기에, 그간 모두가 공유하는 태양광이 아닌 빛이 없는 밤에 나만의 사적인 빛을 입히는 방식으로 풍경을 담아 왔다. 빛은 필름에만 흔적을 남길 뿐, 자연에 물리적 혹은 폭력적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점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주로 ‘순간광’을 사용하였던 전작과는 달리 이번 작업에는 색이 있는 ‘지속광’을 사용해 실제 존재하는 풍경 위에 물감을 칠하듯 라이팅을 했다. 그것은 비시각적 느낌의 시각화를 위한 선택이었다.

새로운 작업으로 나를 이끈 것은 향기였다. 도시에서 떨어져 지내는 동안 오감의 감수성은 점점 더 발달했고, 특히 후각이 섬세해 졌다. 자연이 내뿜은 향기의 여러 결을 감지하게 되었다. 꽃의 향기처럼 잎의 향기도 맡고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온도‧습도에 따라, 혹은 광량에 따라 향기의 농도가 달라졌다. 어떤 순간에는 코로 향기를 맡는 것이 아니라 향기에 온몸을 푹 담근 것 같았다. 

식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소통하는데, 그중 하나가 ‘향기 언어’다. 식물이 특정한 화학 물질을 공기 중에 방출함으로써 주변 식물이나 곤충, 미생물과 상호작용한다는 과학적 사실과 나의 경험이 뒤엉키면서 나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온갖 실험 끝에 새로운 형식을 도출하게 되었다.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풍경 속에서도 각자의 방식으로 시련을 이겨내고, 자신의 터전을 일구며 삶을 이어가는 식물의 생명력에 나는 매번 매혹되고 만다. 그들의 존재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고, 그들이 내뿜는 존재의 향기를 채색을 통해 시각화 하는 것으로, 우리의 소중한 만남을 기록했다.
                                                                                  
 -이정록


이정록  I  Private Light 14 _ 67x9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이정록  I  Private Light 12-1 _ 120x16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약력]
이정록 (b.1971)

1996 광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1998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전공 졸업
2002 로체스터공과대학 영상예술대학원 순수사진전공 졸업 (M.F.A)

 
개인전
2025 Private Light (갤러리나우)
2024 밤, 정화와 승화의 시간 (포스코미술관, 서울)
2023 흰사슴 LUCA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21 LUCA ( 갤러리나우, 서울)
     그 곳, 그 숨 (광주시립미술관 사진전시관, 광주)
2020 The origin of energy (갤러리나우, 서울)
2019 The Way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수상한 풍경 (스페이스22, 서울)
     Nabi (신세계갤러리, 광주)
2018 신화의 빛 (루모스, 대구)
     Light up the moment (더 플롭스, 서울)
     Tree of life -Decade (갤러리나우, 서울)
     빛이 가는길 (서학동사진관, 진주)
2017 Nabi (BK갤러리, 서울)
     Nabi &Tree of life (루시다갤러리, 진주)
2016 NabiⅡ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Nabi (Pontone Gallery, London, UK)
2015 Nabi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See the Unseen ( BMW PHOTO SPACE, 부산)
2014 Journey of Light (신세계갤러리, 부산)
     One Day-Tree of Life (로고스전원갤러리, 의왕)
     Let There Be The Light (Zendai Contemporary Art Space,상하이,중국)
     Palette of Light (관훈갤러리, 서울)
     Tree of Life in Island (신세계갤러리, 서울)
     Tree of Life in Island (신세계갤러리, 광주)
2013 Tree of Life in Island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Light & Revelation (빛갤러리, 서울)
2012 Decoding Scape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Decoding Scape (두손미술관, 제주)   
     See the Unseen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0 Tree of Life (빛갤러리, 서울)
     Tree of Life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9 이정록 (공근혜갤러리, 서울)
2007 The Mythic Scape (트렁크갤러리, 서울)
     The Mythic Scape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3 Aquarium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2 Clarias (나인갤러리, 광주)
2001 Clarias (SPAS갤러리, 로체스터, 뉴욕)
1998 남녘땅 (갤러리 2000, 서울)
 
주요 단체전
2025 대한민국 국제포토페스티벌(에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24 부산국제사진제- 한여름 밤의 꿈 (부산항 1부두창고)
     칠곡 국제 트랜스미디어축제(칠곡공에테마공원, 칠곡)
2023 Insight into Nature and Humanity (부다페스트 한국문화원, 헝가리)
     FANTASIA-가상과현실 (함평군립미술관, 함평)
     Sound of Spring (관훈갤러리, 서울)
     ME BEFORE YOU (데이지갤러리, 제즈)
2022 두 번째 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Resonance of Trees (브위셀 한국문화원, 벨기에)
     차이의 합성 (뉴델리 한국문화원, 뉴델리, 인도)
2021 예술가로 사는 것 (포스코미술관, 서울)
2019 Circulation metaphor (런던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낮선 시간의 산책자 (산미술관, 원주) The Flaneur in the another time
     시간을 담은 풍경 (신세계갤러리, 대구)
2018 광주비엔날레-상상의 경계들 (아시아문화전당, 광주)
     사비나미술관 재개관특별전-예술가의 명상법(사비나미술관, 서울)
     풍경사이 (광주시립사진전시관, 광주)
2017 Time Machine : 'Moment, Light, Camera' (국립대만현대미술관,타이중, 타이완)
     Regard sur la Coree-Beyond the Horizon (Chapelle de hotel Dieu, Dreux, France)
2016 한중현대미술20인전(광저우미술학원 대학성미술관, 광저우, 중국)
     미디어스토리(신세계갤러리, 광주)
     Image of Silk Road-Photography Biennale of Tianshui (Tianshui, China)
     China International Photographic Festival (정주미술관, 정주, 중국)
     담다 (슈페리어갤러리, 서울)
     이미지 스펙트럼 (담빛갤러리, 담양)
2015 Surveying the Landscape :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Wall Space gallery, 산타바바라, 미국)
    서울사진축제,기쁜우리 젊은 날-사진으로 되새기는 광복 70주년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서울)
    Foto Istanbul (Kabatas, 이스탄불, 터키))
      따리국제사진페스티벌 (따리고성, 운남성, 중국)
      Magic Realism (S plus gallery, 서울)
      Master of Light (Shine Artist, 런던, 영국)
      물도 꿈을 My꾼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4 Nature, in process (space cottonseed, 싱가폴)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빛2014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전-만월 (대구문예회관, 대구)
      역병의해 일지 (아르코미술관, 서울)
      미술관속 사진페스티벌-역사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3 나무의 숨결 (천안예술의전당미술관, 천안)
      사유된 정경 (월전미술관, 이천)
      Utopia (오페라갤러리, 서울)
      Fact or Fiction (관훈갤러리, 서울)
2012 제9회 광주비엔날레-라운드 테이블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무등설화 (금일미술관, 북경, 중국)
      비밀, 오차의 범위 (아르코미술관, 서울)
      Snowy Landscape (신세계갤러리, 서울)
      어제와 오늘 (가나아트갤러리, 부산)
      무등설화 (허난성미술관, 정주, 중국)
2011 오늘날의 신화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마법의나라, 양평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자연, 이미지 (일우스페이스, 서울)
      운동-합시다 (금호갤러리, 광주)
      제3회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전: 손끝의 창조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Open It to Your Mom (갤러리 나우, 서울)
2010 난징비엔날레: AND_WRITERS (장쑤성미술관, 난징, 중국)
      한국현대사진의 조망 (국립타이완미술관, 타이중, 타이완)
      The Moment (63스카이아트미술관, 서울)
      2010 미디어아트페스티발 DIGIFESTA 주제전: 광속구-시속 2010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2009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 (가든파이브갤러리, 서울)
      광주&서울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교류전: NO...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세로토닌2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OZ Thema (신세계갤러리, 서울)
      Make Up Photo (빛 갤러리, 서울)
      GETXOPHOTO Festival (게초, 스페인)
      블루닷아시아 (예술의 전당, 서울)
      Utopia (갤러리 이룸, 서울)
      New Digital Age (노보시비르스크 주립미술관, 노보시비르스크, 러시아)
2008 Illusion (2x13갤러리, 서울)
     아트 앳 홈: 원더풀 라이프 (두산아트센터, 서울)
     공장 (일민미술관, 서울)
     Contemporary Korean Art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영국)
     공명의 시간 (아라리오갤러리, 베이징, 중국)
2007 멀티플아트 (버스 갤러리 M, 대구)
      Shanghai eArts Festival (쉬훼이미술관, 상하이, 중국)
      우리 땅 우리 민족의 숨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
      대구, 광주 뉴비젼모색전 (대백갤러리, 대구)
      처음 10년-미술제 대상 수상작가전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6 의재창작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 (의재미술관, 광주)
      Media Experiment (조선대학교미술관, 광주)
      역사문화기행: 섬 (신세계갤러리. 광주)
      앵글의 휴머니티 (광주시립미술관분관, 광주)
      새마을: 근대생활이미지 (일민미술관, 서울)
2005 열다섯 마을 이야기 (구 전남도청 특별전시관, 광주)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자연으로부터의 작업 (야투자연미술관, 공주)
      한국사진의 과거와 현재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제1회 환경미술제: 에코토피아를 향하여 (옥과미술관, 옥과)
2004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동물이라는 자연 (구 공주 경찰서 금강비엔날레 특별 전시관, 공주)
      2004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우리시대 10인의 풍경 (의재미술관, 광주)
2003 풍경이다 (조흥갤러리, 서울)
      시선과 응시 (신세계갤러리, 광주)
      Amazing Things Happen in Gwangju River (롯데갤러리, 광주)
2001 Intersection (SPAS갤러리, 로체스터, 뉴욕)
      19 Photographers with Calm Land (후쿠오카 아시안 아트 뮤지엄, 후쿠오카, 일본)
      Digital Art 갤(러리 r, 로체스터, 뉴욕)
      Honor Show (PAS갤러리, 로체스터, 뉴욕)
2000 More Than Several (SPAS갤러리, 로체스터, 뉴욕)
1999 고요한 나라 (사이갤러리, 서울)
      호남사진축전 초대작가전 (패밀리랜드 특설전시장, 광주)
1998 고요한 나라 (갤러리 2000, 서울)
1997 HIPHO (인데코화랑, 서울)
     Communicate (삼성포토갤러리. 서울)
 

수상 및 레지던시
2015 수림사진문화상 수상
2015 REDPOLL PHOTO AWARDS BEST PHOTOGRAPHER 상 수상, 중국
2014 중국 상해 히말라야미술관 정대주가각예술관 국제레지던시 입주작가
2013 제주도 가시리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9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6 의재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6 신세계미술제 대상


작품소장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대림미술관, 서울
아트선재미술관, 경주
일민미술관, 서울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저서 
사진집 ‘Mythical Gleams’ 루모스출판사
에세이 ‘수상한 풍경’ 눈빛출판사



이정록  I  Private Light 01 _ 9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이정록  I  Private Light 07 _ 9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202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